동굴의 암각화에 무수하게 그려진 손들이 질문을 던진다. ‘나는 누구? 여기는 어디?’ 기원전의 질문은 멈춘 적이 없다. 동시대를 사는 지금, 우리도 예술을 통해 존재를 묻고 존재를 통해 예술이 무엇인지 묻는다. 아서 단토(Arthur C. Danto 1924-)가 서술하는 예술의 종말 이후에도 질문은 이어진다. 단토는 “예술의 본성에 대한 철학적 물음은 오히려 예술가들이 경계선을 차례차례 밀쳐내고 드디어 모든 경계선이 무너졌다는 것을 발견하였을 때, 예술 내부에서 생겨나게 되었다.”고 하는데 이런 예술에 대한 철학적 물음이 가능해진 것은 미술사의 특정단계가 도래하고 나서였다. 이것은 예술의 종말 이전의 두 내러티브 즉, 바자리와 그린버그 내러티브 이후의 시기를 말한다. 바자리로 상징되는 재현미술은 사진기의 발명으로 마무리되고 다음으로 그린버그의 모더니즘이 막을 내리는 예술의 종말 이후 마침내 다원주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호주 ACCA(Australian Centre for Contemporary Art)에서 1995년에 열렸던“Seven Histories of Austrailia”는 ‘예상되는 재현의 경계를 넘나들며 개인의 경험과 장소감을 탐색하며, 개인적인 이야기나 환원적인 정체성의 정치를 뛰어넘어 예상치 못한 일들을 기록하는 등 신선한 관심의 폭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데, 이 전시회에 참여했던 고든 베넷(Gordon Bennett,1955-2014)의 작품을 통해 예술의 종말 이후의 다양하게 표출되는 다원주의 예술을 이야기하려고 한다.
“2001년은 영국과 호주 연방 100주년을 맞이하여 화해 추구에 대한 새로운 방안들로 인해 아마 ‘탈식민주의’문화에 사로잡히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작가들의 정체성과 운명에 대한 질문은 놀라운 일이 아니며, 동시대 예술가들은 아카이브를 샅샅이 뒤지느라 바쁘다.”
1995년 “일곱 개의 역사” 전과 관련해 비평가 스테파니 홀트는 이렇게 이야기했다.
전시가 열렸던 1995년부터 지금까지 여전히 혐오를 부추기는 사회, 그리고 이분법적으로 가르고 쪼개며 이어지는 여러 논쟁 속에서 과거는 계속해서 우리를 속박하고 있다. 그 유산에 맞서려면 편파성과 모순 속에 있는 과거에 대한 인식은 그 흔적을 멍하니 쳐다보는 것 이상을 필요로 하며 예술가들은 그때도 지금도 큰 축을 담당한다. 베넷은 그의 작품을 통해 그의 방식으로 경계를 탐색하고, 지우고 다시 그리며 ‘과거에 묶인 역사’를 드러내었다.
"나는 스코틀랜드, 영국, 그리고 토착 오스트레일리아인의 혼합된 전통을 물려받았습니다. ‘백인’ 호주인으로 길러지고 교육받아 사회인이 된 나는 현대 호주사회 내에서 원주민의 역사적인 묘사를 지배하는 인종적 전형과 힘/지식의 관계를 분명히 알게 되었습니다. 나는 내가 물려받은 토착민적인 유산을 탐구하고 싶었고, 어떻게 그것이 식민지 역사와 현실과 뒤얽히게 되었는지 연구하고 싶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나는 나의 관심을 추구하는데 있어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적인 틀 안에서 ‘차용’이라는 수단이 가장 적당한 방법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당시 탈식민주의 흐름에서는 서구 중심의 지식체계를 해체하고 그 과정에서 배제된 타자들의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목적을 두었다. 본인의 정체성을 탐구하며, 타자를 주제로 공명하는 역사를 다루는 고든 베넷은 정체성과 운명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맥락에 대한 예리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가 발견한 이미지의 의미를 함축하고 또, 교묘하게 수신된 시각적인 어휘들을 조작하며 화면을 구성한다. 이런 구성은 질문을 만들어 내고 그 질문들이 만들어진 배경을 탐색하게끔 우리를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