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이전글 다음글
렘브란트, 17세기의 사진가
REMBRANDT, 17TH CENTURY PHOTO GRAPHER
최지혜
최지혜-1.4원고_사진2_.JPG
ㅇ 전시명 : 렘브란트, 17세기의 사진가
ㅇ 전시기간 : 2023. 10. 31.(화) ~ 2024. 3. 17.(일)
ㅇ 전시장소 : 대구미술관 1전시실
ㅇ 참여작가 : 렘브란트 판 레인(1606~1669)
ㅇ 전시구성 : 동판화 120점
 
대구미술관은 2023년 해외교류전 《렘브란트, 17세기의 사진가》를 개최한다.

‘빛의 화가’로 불리는 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1606~1669)는 서양미술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로 꼽히는 거장이며, 미술사가들로부터 ‘렘브란트 이후 판화의 역사가 다시 쓰였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판화, 특히 동판화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독보적인 판화가였다.

이번 전시는 대구미술관과 네덜란드의 렘브란트순회재단(Stichting Rembrandt op Reis), 벨기에의 판화전문 미술관 뮤지엄드리드(Museum de Reede)가 협력해 렘브란트의 동판화 120여 점을 소개하는 대규모 전시로, 자화상과 초상화로 대표되는 유화 뿐만 아니라 에칭과 드라이포인트 기법을 활용한 판화를 평생 300여 점 남긴 렘브란트의 판화가로서의 면모를 본격적으로 소개한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사진이 발명되기 2세기 전 마치 카메라의 렌즈와도 같은 시선으로 17세기의 세상과 당시의 사람들을 있는 모습 그대로 바라보고 작품에 담아 낸 렘브란트의 시선에 주목한다.

전시는 렘브란트의 동판화 120점을 자화상/거리의 사람들/성경 속 이야기/장면들/풍경/습작/인물·초상 등 7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소개한다.
대구미술관은 이번 전시를 통해 렘브란트의 삶과 예술을 조망하고, 그 빛과 어두움, 무엇보다 그의 ‘세상을 향한 시선’을 함께 나눠 보고자 한다. 이 전시가 지금으로부터 400년 전 세상과 인간을 따뜻하게 바라보았던 위대한 화가의 시선을 따라가 보고, 그가 들려주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보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출처 : 대구미술관 홈페이지(http://www.daeguartmuseum.or.kr)
 

“Rembrandt goes so deep into the mysterious that he says things for which there are no words in language.”
-Vincent van Gogh(1853-1890)
 
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1606-1669)는 빛과 어둠을 깊이 탐구하고 표현한 위대한 거장으로 알려져 있으나, 미술사가들로부터 ‘렘브란트 이후 판화의 역사가 다시 쓰였다’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동판화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작가이기도 하다.

이번 대구미술관 2023 해외교류전에서는 에칭, 뷰린, 드라이포인트 기법을 활용한 300여 점의 판화 중 120점을 소개한다. 사진이 발명되기 2세기 전, 카메라 렌즈와 같은 시선으로 17세기 황금기를 구가하던 네덜란드가 지닌 빛과 어둠의 찰나를 담아낸 렘브란트의 작품들은 400년의 시공간을 뛰어넘는 시간여행으로 관람객들을 초대한다.

본 전시는 자화상(Self-portraits), 거리의 사람들(Beggars & Streetfork), 성경 속 이야기(Bible Scenes), 장면들(Allegories, Genre Scenes), 누드(Nudes), 풍경(Landscapes), 습작(Sheets of Studies), 인물과 초상(Faces & Portraits) 총 7개의 섹션(section)으로 나누어 전시 중이다.
‘성경 속 이야기’ 섹션의 한 작품을 함께 보면서 판화가 가지는 매력을 미리 경험해 보면 어떨까.
최지혜-1.4원고_사진_.jpg

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 병자를 고치는 예수 >, 1647-1649
1길더가 100~200유로(한화 약 14만 원-28만 원) 정도의 화폐가치를 하던 당시 100길더에 거래되어 100길더 프린트라고 불렸던 작품 < 병자를 치유하는 예수 >이다. 작품 주제는 마태복음에서 가져왔으며, 병자들을 고치고 영원한 생명을 가르치는 예수가 등장한다. 렘브란트를 존경하고 아끼던 바터 루스(Herman Frederik Waterloos, 1625-1664)의 ’플로린 동전 100개‘라는 렘브란트를 위해 쓴 시가 특히 유명한데, 실제로 미술사가들은 이를 통해 렘브란트가 표현하려고 했던 성경 구절, 즉 마태복음 19장을 식별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렘브란트의 요점은 고통의 세계에 있는 신의 아들의 삶을 그린 것입니다./ 이미 천육백 년 전에 그는 자신이 행한 기적의 표징을 보여주었습니다. 여기서 예수님의 손이 병자를 고치십니다. 그리고 어린이들에게는 (신성하게) 축복을 주시고 그를 방해하는 자들을 벌하십니다. 그러나 (아아) 그의 제자는 그를 애도합니다. 그리고 학자들은 그리스도의 신성한 성품을 거룩하게 하는 성도들의 믿음을 조롱합니다.”
 
이 작품에서 우리는 대조적인 두 군상을 볼 수 있다. 오른쪽은 병들고 쇠약한, 예수의 손길을 기다리는 사람들과 왼쪽에는 은밀히 쑤군거리며 예수를 곤경에 몰아넣을 구상을 모의 중인 두건을 두른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 그리고 예수의 오른손이 가리키는 방향쯤에 시무룩해 보이는 부자 청년이 있다. 오른손으로 턱을 괴고 앉아 돈과 예수를 저울질 중인데 율법 모범생인 이 청년은 결국 돈을 선택한다. 작품 오른편 문 앞의 낙타는 바로 이렇게 부자가 천국의 문으로 들어가는 것보다 낙타가 바늘귀를 통과하기가 쉽다는 은유를 상징한다. 그리고 예수에게서 눈을 떼지 못하는,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를 따른 제자가 있다. 작품의 한 공간, 똑같은 빛 아래 함께 존재하지만 각기 다른 인간 군상을 표현한 이 작품은 렘브란트가 지닌 인간 개개인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늠하게 해준다. 어쩌면 어둠 속에 있을 때야 비로소 예수가 지닌 빛을 향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렘브란트는 판화를 예술의 경지에 끌어올린 혁명적 작가였다. 복제를 목적으로 하던 판화가 소장하고 싶은 작품이 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활발하게 미술거래가 이루어지던 17세기의 네덜란드 시장의 상황과 렘브란트의 끝없이 연습하고 실험하는 장인 정신이 함께 빚어낸 결과였다. 아마도 여러분은 이번 전시를 통해 우주만큼 깊고 큰 의미가 담긴 손바닥만한, 혹은 좀 더 큰 크기의 판화라는 바다에 풍덩 빠지게 될 것임을 확신한다.
 

이미지 출처

대구미술관 홈페이지(http://www.daeguartmuseum.or.kr)